[Spring Boot] 설치 방법 및 초기 설정
Spring Boot란?
- Spring framework 기반 프로젝트를 복잡한 설정없이 쉽고 빠르게 만들어주는 라이브러리
- 개발자가 일일히 모든 설정을 할 필요없이 자주 사용되는 기본 설정을 해줌
- 스프링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여러가지 복잡한 설정을 대부분 미리 셋팅 + WAS도 별도 설정없이 바로 웹개발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놓음
Spring Boot 를 사용하는 이유
- 빈(Bean) 설정 XML xxx -> @ O
- 빈 등록을 위한 설정파일(.xml)이 불필요해지므로 자바 코드만 보고서도 전체내용 파악가능
- 라이브러리 관리 pom.xml xxx -> 그레이들(GRADLE) O
-> 그레이들 사용시 .xml 대신 간단한 설정파일을 사용할수있게됨 - 외부 와스 없이 내장된 톰캣 서버 사용 가능
- 내장 서블릿 컨네이너 덕분에 jar파일로 간단하게 베포 가능
- 스프링 라이브러리 관리를 위한 자동설정 제공(스프링 부트 스타터)
- 과도한 xml 설정 xxx
스프링으로 웹 프로젝트는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업에서는 legacy project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Spring Starter Project : Spring Boot를 이용하는 프로젝트
- Spring Legacy Project : 스프링 템플릿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프로젝트
Spring Boot 설치
설치방법은 이클립스에 추가 설치 방법과 사이트에서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사이트에서 직접 설치를 해보려고 한다.
- 자신의 pc에 맞는 ver 설치
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of Spring tooling
Largely rebuilt from scratch, Spring Tools 4 provides world-class support for developing Spring-based enterprise applications, whether you prefer Eclipse, Visual Studio Code, or Theia IDE.
spring.io
- .jar 다운로드 확인
- 이때 jdk는 11버전 이상이여야 하므로 cmd창에 java -version을 검색하여 확인
- cmd로 .jar(==.zip) 압축해제
- jar가 있는 위치에서 java -jar spring 기입 후 tab을 누르면 자동완성이 되고 enter를 누르면 압축이 해제
- 해제가 완료되면 하기와 같은 파일이 생성됨
- SpringToolSuite4.exe를 누르면 실행!
Spring Boot 초기 설정
window -> Preference
- 기본 web browser Chrome으로 설정
- 인코딩설정
Spring Starter Project 설정
[Spring Starter Project 설정]
Name --> 프로젝트 이름
Type --> 라이브러리 관리 도구
Packaging --> 내장 WAS인 톰캣 서버 사용시 War 사용
Java version --> 11이상
Group
Package
- 프로젝트 생성시 의존성을 추가해줄 수 있음
web 프로젝트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Spring Web Dependencies를 주입해준다.
만약 프로젝트 생성시에 의존성을 추가하지 못하였으면 Maven 환경의 설정을 해주는 pom.xml와 같은 기능해주는
gradle 환경의 설정을 하는 build.gradle 설정파일에 수정을 하면 된다.
- WAS가 내장되어 있어서 설정없이도 서버 실행이 가능
- 톰캣 기본 포트와 오라클이 충돌 되므로 포트를 변경해준다.
- application.properties에서 변경
- 실행하면 변경된 포트와 톰캣 버전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