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server] Geoserver 개념 및 ShapeFile(.shp)
GeoServer 란?
지리공간데이터를 공유하고 편집할 수 이는 Java로 개발된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 서버로
상호운용성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개방형 표준을 사용하여 다양한 공간 데이터 소스를 서비스할 수 있다.
OpenLayers 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일종으로 GeoServer를 통해 생성된 레이어를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가공하여 웹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장점 :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다양한 지도 (Google Maps, OSM, Bing Maps) 서비스들과 호환이 잘 되고 거의 모든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을 지원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
WMS(Web Map Service) : GIS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웹을 통해 지도 이미지로 서비스함.
데이터서버를 저장된 레이어 또는 분석을 통해 생성된 벡터 및 래스터 데이터를 시각화 하는 서비스
WFS(Web Feature Service) : 웹을 통해 벡터형식으로 GIS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벡터 레이어를 공간 및 속성조건을 이용해서 불러오거나 관리(피쳐의 추가, 수정, 삭제) 하기 위한 서비스
WCS(Web Coverage Service) : 웹을 통해 래스터 형식을 GIS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위성 영상 등과 같은 자료를 서비스
WPS(Web Processing Service) : 지리정보에 대한 다양한 처리 서비스를 웹상에서 정의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든 OGC 표준 웹 서비스들과 상호호환성을 갖도록 정의
공간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파일 포맷 중 하나 .shp라는 파일 포맷으로 된 ShapeFile
.shp : 지리 사상의 기하학 정보를 저장
.shx : 지리 사상의 기하학 정보의 인덱스를 저장(shp파일의 인덱스)
.dbf : 지리 사상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dBASE파일(table)
.prj : 좌표계의 정보가 담겨있음. 따라서 prj 파일이 없는 경우 별도로 좌표계를 지정해줘야함
.qpj : prj 파일과 연동된 파일로 Qgis에서 쉐이프 파일을 활용할 때 필요. Qgis에서 prj파일을 호출할 때 좌표계를 혼동하는 오류가 발생해 이를 보완하는 역할